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 (Eve Kosofsky Sedgwick) – 퀴어이론 선구자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Eve Kosofsky Sedgwick, 1950~2009)은 퀴어이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미국의 문학비평가이자 이론가입니다. 그녀는 성적 지향, 젠더, 권력, 언어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며, 기존의 이성애 중심적인 비평 관행을 근본적으로 해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세지윅의 작업은 단순한 성소수자 옹호를 넘어, 모든 사회적 정체성과 담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성찰하는 비판적 렌즈를 제공합니다. 대표작 『남성 간의 유대(Between Men)』와 『에피스테몰로지 오브 더 클로젯(Epistemology of the Closet)』은 오늘날 퀴어이론의 고전으로 널리 읽히고 있습니다.퀴어이론의 출발: 범주를 넘어선 해체적 사유세지윅의 퀴어이론은 전통적인 성 정체성 범주에 대한 도전을.. 2025. 6. 19.
에이브럼스 (M. H. Abrams) – 낭만주의 문학 비평 이론 M. H. 에이브럼스(Meyer Howard Abrams, 1912~2015)는 미국의 문학 비평가이자 낭만주의 문학 이론의 권위자로, 『거울과 등불(The Mirror and the Lamp)』이라는 저작을 통해 문학 비평의 새로운 틀을 제시한 인물입니다. 그는 문학을 보는 관점이 시대와 사조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특히 낭만주의 시대의 전환점을 중심으로 문학 이론의 흐름을 분석했습니다. 에이브럼스는 복잡한 문학 담론을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비평적 사유에 큰 공헌을 했으며, 지금도 그의 이론은 문학 연구와 교육에서 핵심적으로 인용됩니다.낭만주의 문학의 핵심: 창작과 상상력의 중심화에이브럼스가 가장 집중한 사조는 바로 ‘낭만주의’입니다. 그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2025. 6. 18.
벨 훅스 (bell hooks) – 흑인 여성주의 문학이론가 벨 훅스(bell hooks, 1952~2021)는 미국의 저술가이자 페미니스트, 교육자, 사회비평가로서, 흑인 여성주의 이론과 교차성 담론의 핵심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녀는 계급, 인종, 젠더가 얽힌 구조적 억압을 분석하며, 비주류 목소리를 중심에 놓는 해방적 글쓰기와 교육을 실천했습니다. 『사랑은 행동이다(All About Love)』, 『페미니즘은 모두를 위한 것이다(Feminism is for Everybody)』 등 그녀의 저서는 학술 담론과 대중 담론의 경계를 허물며, 여성주의와 인권 담론을 일상 속 실천의 언어로 확장시켰습니다. 벨 훅스는 언제나 소문자 이름으로 자신을 표기했는데, 이는 ‘개인보다 담론이 중요하다’는 철학적 실천을 반영합니다.흑인 여성주의: 억압의 복합성을 말하다벨 훅스는 .. 2025. 6. 17.
헬렌 식수 (Hélène Cixous) – 페미니즘 문학 이론, 여성 글쓰기 헬렌 식수(Hélène Cixous, 1937~ )는 프랑스의 페미니즘 이론가이자 문학비평가, 극작가, 소설가로, '여성 글쓰기(écriture féminine)' 개념을 통해 20세기 후반 페미니즘 문학이론의 지평을 넓힌 중심 인물입니다. 그녀의 이론은 데리다의 해체주의와 긴밀하게 연결되며, 언어 구조 속에 내재된 젠더 권력 관계를 해체하고 여성의 몸과 욕망, 감각이 살아 숨 쉬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제안합니다. 식수의 대표작 『메두사의 웃음』은 전 세계 페미니즘 비평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텍스트 중 하나로, 여성 주체성과 문학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다시 묻는 작업으로 평가받습니다.여성 글쓰기란 무엇인가: 몸으로 쓰는 언어식수는 기존의 글쓰기가 오랫동안 남성 중심, 즉 ‘파르로고스 중심주의(phall.. 2025. 6. 16.
노스럽 프라이 (Northrop Frye) – 문학 장르 이론, 신화비평 노스럽 프라이(Northrop Frye, 1912~1991)는 캐나다 출신의 문학비평가로, 20세기 문학이론에 깊은 영향을 끼친 사상가입니다. 그는 『비평의 해부(Anatomy of Criticism)』를 통해 문학 비평이 보다 과학적이고 일관된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시도했으며, 특히 문학 장르의 순환적 구조와 신화비평의 원형론은 문예학, 창작, 교육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프라이는 문학을 단순한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인류가 공유하는 상상력의 구조를 기반으로 반복되는 서사 유형이라고 보았으며, 이를 통해 문학에 내재된 의미 체계를 해독하려 했습니다.문학 장르의 원형적 구조프라이의 문학 장르 이론의 핵심은 문학이 일정한 상징 체계와 신화적 구조에 따라 반복적으로 조직된다는 관점입니.. 2025. 6. 15.
낸시 프레이저 (Nancy Fraser) – 비판이론, 인정과 재분배의 정치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 1947~ )는 미국의 정치철학자이자 비판이론가로, 정의론, 페미니즘, 사회운동 이론을 넘나드는 통합적 사유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위기와 정체성 정치의 한계를 날카롭게 비판하며, ‘재분배’와 ‘인정’을 모두 포괄하는 정의 개념을 제안합니다. 그녀의 대표 저작 『정의의 지평 재구성하기』, 『페미니즘을 재구성하다』 등은 젠더, 인종, 계급 간 얽힌 불평등 문제를 다층적으로 분석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해줍니다. 오늘날 사회운동, 복지정책, 페미니즘 담론에서 그녀의 목소리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비판이론의 재구성: 프레이저의 이론적 출발점프레이저는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을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맞게 재구.. 2025.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