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8

월터 베냐민 (Walter Benjamin) – 아우라 개념, 문화철학자 월터 베냐민(Walter Benjamin, 1892~1940)은 독일의 문예비평가이자 철학자, 문화이론가로, 기술 복제 시대에 예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통찰한 선구적 사상가입니다. 프랑크푸르트학파와 긴밀히 연관된 그는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이라는 글을 통해 ‘아우라(aura)’ 개념을 정립하고, 모더니티 속에서 예술과 인간 경험의 변화 양상을 날카롭게 진단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오늘날 디지털 콘텐츠, SNS, 인공지능 창작 등에도 강한 함의를 가지며, 예술과 기술, 자본, 감성 사이의 복합적 관계를 사유하는 데 필수적인 철학적 도구로 활용됩니다.아우라의 개념: 진정성과 유일성의 상실베냐민의 ‘아우라(.. 2025. 6. 25.
프랑코 모레티 (Franco Moretti) – 세계문학, 빅데이터 비평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는 이탈리아 출신의 문학 이론가로, ‘거리두기 읽기(Distant Reading)’와 ‘문학 지형학(Literary Geography)’이라는 개념을 통해 문학비평의 지평을 근본적으로 확장시킨 인물입니다. 그는 문학을 전통적인 클로즈 리딩(close reading) 방식으로만 다루는 데 한계를 느끼고,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이론, 통계 분석 등의 방법론을 도입하여 수많은 텍스트를 넓게 바라보는 읽기를 시도했습니다. 『거리두기 읽기』, 『문학을 어떻게 민주화할 것인가』 등 그의 주요 저작은 문학 연구의 과학화, 탈중심화, 글로벌화를 동시에 이끌며 21세기 문학비평의 방향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습니다.세계문학의 확장: 유럽 중심주의에서 네트워크로모레티가 가장 강하게 비판.. 2025. 6. 23.
브라이언 맥헤일 (Brian McHale) – 포스트모던 문학이론가 브라이언 맥헤일(Brian McHale)은 포스트모던 문학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한 대표적인 문학비평가입니다. 그는 1987년 저서 『포스트모던 픽션(Postmodernist Fiction)』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을 기존의 구조주의·모더니즘 문학과 구별되는 새로운 문학적 패러다임으로 제시하며, “존재론적 전환(ontological shift)”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서사 구조의 변화 양상을 설명했습니다. 맥헤일은 텍스트의 형식적 실험뿐만 아니라, 그것이 말하고자 하는 세계에 대한 철학적 입장을 문학 내부에서 포착해내는 방식으로 포스트모던 소설을 분석합니다.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존재론적 전환브라이언 맥헤일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공헌은 포스트모던 문학을 이해하는 틀로 “존재론적 문제(ontol.. 2025. 6. 22.
레이 브래드버리 (Ray Bradbury) – 문화비판과 SF문학 융합 레이 브래드버리(Ray Bradbury, 1920~2012)는 SF문학의 고전적 거장으로, 단순한 과학기술의 예언자를 넘어 인류의 문화, 사회, 감정에 대한 깊은 통찰을 작품에 담은 작가입니다. 그는 『화씨 451(Fahrenheit 451)』, 『화성 연대기(The Martian Chronicles)』, 『민들레 와인(Dandelion Wine)』 등을 통해 과학과 감성이 만나는 독특한 세계관을 창조했으며,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의 경계에서 인간 존재의 본질을 질문했습니다. 브래드버리는 기술 낙관주의와 기술 경계 사이를 오가며, SF문학을 문화비판의 장르로 확장시킨 인물로 평가받습니다.SF문학의 본질: 상상력과 인간성의 조우브래드버리의 SF문학은 기존의 하드 사이언스 중심의 과학소설과 다릅니다. 그는 물.. 2025. 6. 21.
리타 페일리 (Rita Felski) – 문학과 일상성, 감정의 미학 리타 페일리(Rita Felski)는 현대 문학비평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대표적 이론가로, 문학과 일상, 감정, 공감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문학 읽기 방식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녀는 『문학 이후(After Criticism)』, 『문학의 접속(The Limits of Critique)』 등을 통해 “비판”만을 유일한 독해 전략으로 삼아온 근대 비평 전통을 비판하며, 감정, 경험, 일상적 의미에 주목하는 ‘연결의 비평(Postcritical Reading)’을 제안했습니다. 이로써 문학을 분석과 해체의 대상이 아닌, 삶과 정서의 통로로 보는 새로운 해석 틀이 떠올랐습니다.일상성과 문학: 고상함에서 일상의 감각으로기존 문학비평은 종종 문학을 ‘고급 예술’이나 ‘심오한 텍스트’로 간주하.. 2025. 6. 20.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 (Eve Kosofsky Sedgwick) – 퀴어이론 선구자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Eve Kosofsky Sedgwick, 1950~2009)은 퀴어이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미국의 문학비평가이자 이론가입니다. 그녀는 성적 지향, 젠더, 권력, 언어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며, 기존의 이성애 중심적인 비평 관행을 근본적으로 해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세지윅의 작업은 단순한 성소수자 옹호를 넘어, 모든 사회적 정체성과 담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성찰하는 비판적 렌즈를 제공합니다. 대표작 『남성 간의 유대(Between Men)』와 『에피스테몰로지 오브 더 클로젯(Epistemology of the Closet)』은 오늘날 퀴어이론의 고전으로 널리 읽히고 있습니다.퀴어이론의 출발: 범주를 넘어선 해체적 사유세지윅의 퀴어이론은 전통적인 성 정체성 범주에 대한 도전을.. 2025.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