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

대니얼 데닛 (Daniel Dennett) – 의식, 진화철학, 인지과학 대니얼 데닛(Daniel Dennett, 1942~ )은 미국의 대표적인 철학자이자 인지과학자, 진화심리학자입니다. 그는 의식의 철학, 진화이론, 인지과학을 융합한 독창적 사유를 통해 현대 철학계와 과학계 모두에 강한 영향력을 발휘해왔습니다. 데닛은 『의식 설명하기(Consciousness Explained)』(1991), 『위험한 생각들(Darwin’s Dangerous Idea)』(1995) 등의 저서를 통해 의식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그리고 우리가 이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를 탐구했습니다. 그는 복잡한 철학적 질문에 대해 과학적 통합과 자연주의적 설명을 추구하는 철학자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의식은 ‘센터 없는 내러티브’: 데닛의 해석 모델데닛은 전통적으로 철학자들이 당연하.. 2025. 7. 10.
존 세어럴 (John Searle) – 언어행위 이론, 중국어 방 이론 존 세어럴(John Searle, 1932~ )은 미국의 분석철학자이자 언어철학, 의식철학, 인공지능 논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상가입니다. 그는 존 오스틴의 언어행위이론(speech act theory)을 계승·발전시켰으며, 동시에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대표하는 ‘중국어 방’ 사고실험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세어럴은 언어가 단순한 의미 전달 수단이 아니라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는 행위라고 보았고, 의식이 단지 정보처리 과정으로 환원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AI, 의미론, 인식론, 윤리 등 다방면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언어행위 이론: 말은 세계를 바꾸는 행위다세어럴은 존 오스틴의 “말하는 것은 행하는 것이다(doing things with .. 2025. 7. 8.
토마스 셸링 (Thomas Schelling) – 게임이론과 사회구조 분석 토마스 셸링(Thomas Schelling, 1921~2016)은 경제학자이자 전략이론가로, 게임이론을 활용해 냉전 시대 국제정치와 사회 현상을 분석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입니다. 그는 인간의 전략적 선택이 어떻게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지를 설명하며, 단순한 경제적 계산을 넘어선 ‘전략적 상호작용의 논리’를 체계화했습니다. 특히 『갈등의 전략(The Strategy of Conflict)』과 『미시 동기와 거시 행동(Micromotives and Macrobehavior)』에서 보여준 이론은 협상, 분리현상, 정책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게임이론의 사회적 확장: 셸링의 전략적 사고셸링은 게임이론을 단지 수학적 모델이 아닌 현실 세계의 갈등과 협력, 선택과 유인을 설명하는 틀로 확장시켰.. 2025. 7. 7.
제롬 브루너 (Jerome Bruner) – 발견학습 이론, 인지발달 강조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 1915~2016)는 미국의 대표적인 인지심리학자이자 교육학자로, ‘발견학습(Discovery Learning)’ 개념을 제시하며 현대 교육이론과 교육과정 개발에 깊은 영향을 미친 인물입니다. 그는 학습이란 단지 정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개념을 발견하고 조직하는 인지적 과정이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특히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와 ‘나선형 교육과정(spiral curriculum)’이라는 개념을 통해 교육 내용의 조직 방식과 전달 방법을 혁신적으로 제안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구성주의 교육과 수업 혁신의 이론적 기초로 지금까지도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발견학습 이론: 스스로 깨닫는 것이 진짜 학습이다브루너는 학습자가 교사의 지시나 설명에 의존하기보.. 2025. 7. 6.
캐롤 길리건 (Carol Gilligan) – 여성의 도덕 발달 이론 캐롤 길리건(Carol Gilligan, 1936~ )은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페미니즘 이론가로, 여성의 도덕 발달을 독자적인 관점에서 설명한 ‘배려 윤리(Ethics of Care)’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그녀는 로렌스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이 정의와 규칙 중심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여성의 도덕성과 삶의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른 목소리로(In a Different Voice)』(1982)를 출간하였습니다. 길리건은 인간의 도덕 판단이 단일한 기준으로 발전하지 않으며, 특히 여성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음을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심리학, 교육, 윤리학, 여성학 분야에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습니다.배려 윤리의 핵심: 정의 윤리의 대안적 관.. 2025. 7. 5.
하워드 가드너 (Howard Gardner) – 다중지능 이론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1943~ )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육심리학자로, 전통적인 지능 개념을 넘어서는 ‘다중지능 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제안한 인물입니다. 그는 1983년 저서 『마음의 틀(Frames of Mind)』에서 인간 지능은 단일하고 고정된 IQ 점수로 정의될 수 없으며, 다양한 형태의 지능이 존재하며 각각의 개인은 고유한 지능 프로파일을 지닌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교육 현장에서 획일적인 평가 방식의 문제를 비판하고,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과 학습 스타일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교육철학을 변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다중지능 이론: 8가지 지능의 개별적 가치가드너는 전통적인 논리-언어 중심의 IQ 개념을 비판하며, 인간.. 2025.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