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

아담 스미스 – 경제학의 아버지, 『국부론』 아담 스미스(Adam Smith, 1723~1790)는 근대 경제학의 창시자이자 윤리철학자로, 대표 저서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을 통해 시장경제와 자유무역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이기심과 자율적 활동이 전체 사회의 이익으로 귀결된다는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 개념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사상은 단순한 경제 이론을 넘어, 도덕 감정, 자유주의, 노동 가치, 국가의 역할 등을 포괄하는 통합적 철학입니다. 본 글에서는 아담 스미스 철학의 핵심 개념을 세 가지로 정리합니다.보이지 않는 손과 시장 메커니즘스미스의 가장 유명한 개념인 ‘보이지 않는 손’은 『국부론』에 등장하는 핵심 비유입니다. 그는 개인의 이기적 행동이 시장을 통.. 2025. 5. 20.
주자 – 성리학 체계화, 동아시아 유학사에 큰 영향 주자(朱子, Zhu Xi, 1130~1200)는 남송 시대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성리학(性理學)의 체계를 확립하고 동아시아 유학 전통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상가입니다. 그는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을 이어받아 이를 철학적으로 체계화했으며, 『사서집주』를 편찬하여 유학의 표준 교과서로 만들었습니다. 특히 그의 이기론(理氣論), 성정설(性情說), 도통론(道統論)은 조선, 일본, 베트남에 이르기까지 유학의 정통 사상으로 계승되었고, 유교적 국가 질서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자 철학의 핵심 개념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합니다.이기론: 성리학의 우주론적 기반주자 철학의 가장 중요한 이론 중 하나는 이기론(理氣論)입니다. 그는 우주 만물이 ‘이(理)’와 ‘기(氣)’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보.. 2025. 5. 20.
존 롤스 – 『정의론』, 정의로운 사회 설계 이론 존 롤스(John Rawls, 1921~2002)는 20세기 후반 정치철학을 근본적으로 재편한 정의 이론의 대표 철학자입니다. 그의 대표 저작 『정의론(A Theory of Justice)』(1971)은 자유와 평등, 분배와 공정의 개념을 통합적으로 제시하며, 이후 모든 정의 담론의 기준점이 되었습니다. 그는 사회계약론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원초적 입장(original position)’과 ‘무지의 베일(veil of ignorance)’을 통해 공정한 사회 질서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롤스 철학의 핵심 개념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합니다.정의란 무엇인가: 정의의 두 원칙롤스는 정의를 “사회의 기본 구조를 규율하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 정의하며, 이를 위해 두 가지 .. 2025. 5. 20.
리처드 로티 – 신실용주의 철학자, 언어철학과 해체 비판 리처드 로티(Richard Rorty, 1931~2007)는 20세기 후반 미국 철학을 대표하는 신실용주의자(Neo-Pragmatist)로, 진리, 언어, 인식, 정치에 대한 전통적 접근을 급진적으로 재해석한 사상가입니다. 그는 전통적인 객관주의 철학을 비판하며, 철학을 담론의 교환과 연대 형성의 실천적 도구로 전환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철학과 자연의 거울』,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 등 대표 저작을 통해 그는 언어철학, 해체주의, 리버럴리즘을 통합한 독자적 세계관을 구축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로티 철학의 핵심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합니다.철학의 해체: 거울에서 담론으로로티 철학의 출발점은 철학을 진리의 탐구가 아닌 언어적 실천과 해석의 문제로 전환하는 데 있습니다. 그는 데카르트적 회의주의, 칸.. 2025. 5. 20.
에른스트 카시러 – 기호와 문화의 철학 에른스트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는 독일 신칸트학파 출신의 철학자로, 인간을 “기호적 존재”로 규정하며 문화철학과 상징철학의 방향을 제시한 대표적인 현대 사상가입니다. 그는 『상징 형식의 철학』에서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모든 방식을 기호적 구조로 파악했으며, 이로써 언어, 예술, 종교, 신화 등 문화 전체를 포괄하는 인식 구조를 철학적으로 해석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카시러의 철학적 핵심 개념을 기호, 상징, 문화 세 축으로 나누어 정리합니다.인간은 기호적 존재: 상징 형식 개념카시러 철학의 가장 핵심은 “인간은 기호적 존재다(Animal symbolicum)”라는 선언입니다. 그는 인간의 사유는 본질적으로 직접적인 현실이 아닌, 상징 형식(symbolische F.. 2025. 5. 19.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 비판이론, 프랑크푸르트 학파 헤르베르트 마르쿠제(Herbert Marcuse, 1898~1979)는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대표 사상가이자 비판이론의 핵심 인물로, 자본주의 후기 산업사회에 대한 통찰력 있는 비판을 남긴 철학자입니다. 그는 기술, 소비문화, 억압된 욕망, 이데올로기적 순응을 중심으로 현대 사회를 분석하며, 『일차원적 인간』을 통해 현대인의 자유 상실과 저항 가능성의 위기를 폭로했습니다. 1960~70년대 신좌파와 히피 운동에 철학적 영감을 제공했던 그의 사상은, 오늘날에도 자본주의와 인간소외, 정보기술과 감시체제 비판에 여전히 유효합니다. 본 글에서는 마르쿠제 철학의 핵심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정리합니다.일차원적 인간: 비판과 저항의 실종마르쿠제 철학의 출발점은 『일차원적 인간(One-Dimensional Man)』(19.. 2025.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