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

위르겐 하버마스 (Jürgen Habermas) – 의사소통 행위이론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1929~)는 현대 독일을 대표하는 철학자이자 사회학자로, 비판이론의 제2세대이자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핵심 인물입니다. 그는 계몽의 이상과 민주주의 가치를 현대 사회에 재적용하며, ‘의사소통 행위이론(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과 ‘공론장(Public Sphere)’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버마스는 단순한 철학적 사유를 넘어 실질적 민주주의, 참여, 소통, 합리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이는 오늘날 정치, 언론, 시민사회 이론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의사소통 행위이론: 이해를 위한 행위하버마스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단순히 경제적 불평등이나 제도적 결함으로 보지 않고, 의사소통의 왜곡에 주목했습.. 2025. 5. 23.
노암 촘스키 (Noam Chomsky) – 언어학자이자 정치비평가 노암 촘스키(Noam Chomsky, 1928~)는 현대 언어학의 혁명적 전환을 이끈 학자이자, 미국의 대외정책과 주류 언론을 비판해온 대표적 지식인입니다. 그는 ‘보편문법 이론’을 통해 인간 언어 능력을 과학적으로 설명했으며, 동시에 『선전의 체계(Manufacturing Consent)』를 통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이 권력의 도구가 되는 방식을 비판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촘스키의 언어학과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그의 핵심 사상을 세 가지로 정리합니다.보편문법 이론: 인간 언어의 본질촘스키는 1950년대 후반, 기존의 행동주의 언어학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과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언어가 단지 습득되는 것이 .. 2025. 5. 23.
안토니오 그람시 (Antonio Gramsci) – 문화 헤게모니 이론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1891~1937)는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 정치철학자이자 혁명가로, 문화와 이데올로기의 힘을 중시한 독창적인 좌파 이론가입니다. 그는 감옥에 수감된 상태에서 쓴 『옥중수고』를 통해 “문화 헤게모니” 개념을 정립하며, 고전적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선 문화적·지식인적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오늘날 그의 사상은 언론, 교육, 종교, 대중문화에 내재된 이데올로기와 권력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틀을 제공합니다.문화 헤게모니: 권력은 동의 속에서 작동한다그람시가 가장 널리 알려진 개념은 “문화 헤게모니(Cultural Hegemony)”입니다. 이는 물리적 강제력이나 폭력보다는, 지배 계급이 사회 전반의 ‘상식’과 ‘도덕’을 장악함으로써 피지배 계.. 2025. 5. 22.
알렉시 드 토크빌 (Alexis de Tocqueville) – 민주주의 분석 알렉시 드 토크빌(Alexis de Tocqueville, 1805~1859)은 프랑스 출신의 정치사상가이자 역사학자로, 민주주의의 본질과 위험, 가능성을 통찰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 『미국의 민주주의(Democracy in America)』는 단순한 미국 사회 관찰을 넘어서 민주주의 제도의 작동 방식과 그 내면의 심리, 문화, 구조적 긴장을 분석한 정치철학의 고전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자유와 평등의 균형을 핵심 주제로 삼아, 현대 민주주의의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조망했습니다.평등의 확산과 자유의 위협토크빌은 민주주의가 만들어낸 ‘평등의 열망’이 자유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강하게 경고했습니다. 그는 평등이 확산되면 인간은 더 이상 신분과 계급의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를 누릴 수 .. 2025. 5. 22.
에드먼드 버크 (Edmund Burke) – 보수주의 정치철학의 기초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1729~1797)는 근대 보수주의 정치철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영국의 정치사상가입니다. 그는 급진적인 혁명보다는 점진적 개혁과 전통의 존중을 통해 사회를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성찰(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은 그의 가장 대표적인 저작으로, 오늘날 보수주의 이념의 원형이 되는 사상들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버크 철학의 핵심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합니다.전통과 공동체: 사회 질서의 뿌리버크는 인간 사회를 단지 계약으로 구성된 인위적 집합체가 아니라, 역사 속에서 형성된 유기적 공동체로 보았습니다. 그는 전통, 관습, 도덕, 종교를 사회 질서의 기초로 인식했고, 이를 파괴하.. 2025. 5. 21.
존 스튜어트 밀 (John Stuart Mill) – 자유주의, 공리주의 발전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은 근대 자유주의와 공리주의를 정립한 대표적 사상가로, 그의 저작들은 오늘날 정치철학, 윤리학, 언론 자유, 여성 인권 논의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밀은 벤담의 공리주의를 계승하면서도 질적 차원의 쾌락을 강조하는 ‘질적 공리주의’로 이론을 발전시켰고, 『자유론(On Liberty)』을 통해 자유의 본질과 한계, 그리고 사회의 개입 기준을 철학적으로 규명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밀의 핵심 사상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합니다.자유론: 해악 원칙과 표현의 자유밀의 『자유론』은 근대 자유주의의 고전으로, 개인의 자유와 국가 권력 사이의 경계를 철학적으로 탐색한 저작입니다. 그 핵심에는 “해악 원칙(harm principle)”이 있습니다.해악 원칙.. 2025.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