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

안토니오 그람시 (Antonio Gramsci) – 문화 헤게모니 이론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1891~1937)는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 정치철학자이자 혁명가로, 문화와 이데올로기의 힘을 중시한 독창적인 좌파 이론가입니다. 그는 감옥에 수감된 상태에서 쓴 『옥중수고』를 통해 “문화 헤게모니” 개념을 정립하며, 고전적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선 문화적·지식인적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오늘날 그의 사상은 언론, 교육, 종교, 대중문화에 내재된 이데올로기와 권력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틀을 제공합니다.문화 헤게모니: 권력은 동의 속에서 작동한다그람시가 가장 널리 알려진 개념은 “문화 헤게모니(Cultural Hegemony)”입니다. 이는 물리적 강제력이나 폭력보다는, 지배 계급이 사회 전반의 ‘상식’과 ‘도덕’을 장악함으로써 피지배 계.. 2025. 5. 22.
알렉시 드 토크빌 (Alexis de Tocqueville) – 민주주의 분석 알렉시 드 토크빌(Alexis de Tocqueville, 1805~1859)은 프랑스 출신의 정치사상가이자 역사학자로, 민주주의의 본질과 위험, 가능성을 통찰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 『미국의 민주주의(Democracy in America)』는 단순한 미국 사회 관찰을 넘어서 민주주의 제도의 작동 방식과 그 내면의 심리, 문화, 구조적 긴장을 분석한 정치철학의 고전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자유와 평등의 균형을 핵심 주제로 삼아, 현대 민주주의의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조망했습니다.평등의 확산과 자유의 위협토크빌은 민주주의가 만들어낸 ‘평등의 열망’이 자유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강하게 경고했습니다. 그는 평등이 확산되면 인간은 더 이상 신분과 계급의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를 누릴 수 .. 2025. 5. 22.
에드먼드 버크 (Edmund Burke) – 보수주의 정치철학의 기초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1729~1797)는 근대 보수주의 정치철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영국의 정치사상가입니다. 그는 급진적인 혁명보다는 점진적 개혁과 전통의 존중을 통해 사회를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성찰(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은 그의 가장 대표적인 저작으로, 오늘날 보수주의 이념의 원형이 되는 사상들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버크 철학의 핵심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합니다.전통과 공동체: 사회 질서의 뿌리버크는 인간 사회를 단지 계약으로 구성된 인위적 집합체가 아니라, 역사 속에서 형성된 유기적 공동체로 보았습니다. 그는 전통, 관습, 도덕, 종교를 사회 질서의 기초로 인식했고, 이를 파괴하.. 2025. 5. 21.
존 스튜어트 밀 (John Stuart Mill) – 자유주의, 공리주의 발전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은 근대 자유주의와 공리주의를 정립한 대표적 사상가로, 그의 저작들은 오늘날 정치철학, 윤리학, 언론 자유, 여성 인권 논의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밀은 벤담의 공리주의를 계승하면서도 질적 차원의 쾌락을 강조하는 ‘질적 공리주의’로 이론을 발전시켰고, 『자유론(On Liberty)』을 통해 자유의 본질과 한계, 그리고 사회의 개입 기준을 철학적으로 규명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밀의 핵심 사상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합니다.자유론: 해악 원칙과 표현의 자유밀의 『자유론』은 근대 자유주의의 고전으로, 개인의 자유와 국가 권력 사이의 경계를 철학적으로 탐색한 저작입니다. 그 핵심에는 “해악 원칙(harm principle)”이 있습니다.해악 원칙.. 2025. 5. 21.
아담 스미스 – 경제학의 아버지, 『국부론』 아담 스미스(Adam Smith, 1723~1790)는 근대 경제학의 창시자이자 윤리철학자로, 대표 저서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을 통해 시장경제와 자유무역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이기심과 자율적 활동이 전체 사회의 이익으로 귀결된다는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 개념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사상은 단순한 경제 이론을 넘어, 도덕 감정, 자유주의, 노동 가치, 국가의 역할 등을 포괄하는 통합적 철학입니다. 본 글에서는 아담 스미스 철학의 핵심 개념을 세 가지로 정리합니다.보이지 않는 손과 시장 메커니즘스미스의 가장 유명한 개념인 ‘보이지 않는 손’은 『국부론』에 등장하는 핵심 비유입니다. 그는 개인의 이기적 행동이 시장을 통.. 2025. 5. 20.
주자 – 성리학 체계화, 동아시아 유학사에 큰 영향 주자(朱子, Zhu Xi, 1130~1200)는 남송 시대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성리학(性理學)의 체계를 확립하고 동아시아 유학 전통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상가입니다. 그는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을 이어받아 이를 철학적으로 체계화했으며, 『사서집주』를 편찬하여 유학의 표준 교과서로 만들었습니다. 특히 그의 이기론(理氣論), 성정설(性情說), 도통론(道統論)은 조선, 일본, 베트남에 이르기까지 유학의 정통 사상으로 계승되었고, 유교적 국가 질서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자 철학의 핵심 개념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합니다.이기론: 성리학의 우주론적 기반주자 철학의 가장 중요한 이론 중 하나는 이기론(理氣論)입니다. 그는 우주 만물이 ‘이(理)’와 ‘기(氣)’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보.. 2025. 5. 20.